목차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형 에너지캐시백 개요, 캐시백 지급 기준, 신청 및 지급방식, 제도 변경사항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에너지캐시백 개요
2024년 1월부터 시행되는 한전의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제도입니다.
참고로 아파트단지 대상 에너지캐시백은 폐지됩니다. 주택에 거주하는 전기 사용자가 과거보다 일정 수준 이상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절감한 만큼 캐시백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에너지캐시백 지급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전기 사용량 감소율에 따라 캐시백 금액이 결정됩니다. 최소 3% 이상 전기 사용량을 줄여야 캐시백 대상이 됩니다.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금액이 증가합니다:
- 3% 이상 ~ 5% 미만 절감 시 30원/kWh 지급
- 5% 이상 ~ 10% 미만 절감 시 60원/kWh 지급
- 10% 이상 ~ 20% 미만 절감 시 80원/kWh 지급
- 20% 이상 ~ 30% 미만 절감 시 100원/kWh 지급
에너지캐시백 신청 및 지급 방식
- 신청 방법 :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한전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
- 지급 기준 : 전년 동기 대비 일정 수준 이상 전기 사용량 감소 시 캐시백 지급
- 지급 금액 : 절감된 전기 사용량에 따라 차등 지급
- 지급 방법 :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달 전기요금 청구 시 반영
에너지캐시백 제도 변경 사항
2024년부터 아파트단지 대상 에너지캐시백 제도가 폐지됩니다. 따라서, 2024년부터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등 개별 주택에 거주하는 전기 사용자만 에너지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에너지 절감 방법
에너지캐시백 제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에너지 절감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 LED 조명 사용하기
- 가전제품 에너지 효율 등급 높은 제품 사용하기
- 냉난방기 적정 온도 유지하기
- 불필요한 전기 기기 사용 자제하기
-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하기 등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에너지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택형 에너지캐시백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전기 사용량 절감을 통해 전기요금 절감과 더불어 에너지캐시백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사용방법 예스24 인터파크 (0) | 2025.01.11 |
---|---|
신혼부부 주택융자 및 대출이자 지원사업 (0) | 2025.01.11 |
선불형 동백패스 4만5천원 환급 및 이용 방법 (0) | 2025.01.11 |
K-패스 교통카드 신청 및 발급 안내 (0) | 2025.01.11 |
2024년 하반기 시중노임단가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