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 2025. 7. 7. 15:42

2025년 하반기 시중노임단가


목차


     

    시중노임단가(이하 ‘노임단가’)는 청소·경비·시설관리 같은 단순노무용역의 예정가격을 산정할 때 가장 기초가 되는 금액입니다.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 용역회사까지, 이 숫자 하나로 연간 인건비와 입찰 전략이 완전히 달라지니까요.

     

    저는 “노임단가는 현장의 체온계”라고 부릅니다. 체온이 1도만 올라가도 몸 상태가 확 달라지듯, 노임단가 1% 인상은 예산서부터 근로계약서까지 줄줄이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부터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하반기 단순노무 종사원 노임단가 핵심 숫자

    • 일급: 90,830원
    • 시급: 11,354원
    • 전년 10월 대비 상승률: 0.8%(+745원·+93원)

    솔직히 인상 폭만 보면 ‘찔끔’ 수준입니다. 하지만 제 경험상 노무비는 기본급뿐 아니라 4대 보험, 퇴직금, 복리후생비까지 도미노처럼 올라가기 때문에 체감 인상률은 1%를 훌쩍 넘습니다.

     

     

    최저낙찰하한률과 최저임금, 숨은 지뢰밭

    국가계약 최저낙찰하한률 87.995%를 그대로 적용하면 시급이 9,991원이 됩니다. 지방계약(87.745%)은 9,962원이고요. 문제는 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이라는 점입니다.

     

    당장 낙찰률을 손보지 않으면 ‘최저임금 위반’ 딱지가 붙을 수밖에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낙찰률은 88.2% 이상이 안전선”이라고 확신해요. 계산 돌려보면 최저임금을 간신히 넘길 뿐더러, 관리·이윤 비율을 지킬 여유도 생기니까요.

     

     

    직종별 노임단가 한눈에 보기

    직종 일급 시급 코멘트
    단순노무종사원 90,830원 11,354원 “영업팀은 왜 늘 여기만 보고 견적 짤까요?”
    기계장치정비원 131,589원 16,672원 “설비 하나 멈추면 손실이 영업팀 연봉인데 당연히 비싸죠.”
    전기·전자설비정비원 126,037원 15,891원 “전기는 1초만 멈춰도 CS 폭주… 값어치 인정!”
    보일러설치정비원 109,288원 13,661원 “겨울철 난방 걱정 덕분에 몸값 상승률이 가파릅니다.”

     

     

    노임단가가 바뀌면 계약은 어떻게 조정해야 할까요?

    1. 고시 확인: 중소기업중앙회가 3월 조사·7월 적용 노임단가를 발표합니다. 너무 당연하지만 놓치는 분 많습니다. 
    2. 내역서 검증: 노임단가×예정 낙찰률이 최저임금 이상인지 즉시 계산합니다.
    3. 변경계약: 국가계약법 시행령 64·66조, 지방계약법 시행령 73·75조에 따라 노무비 증액을 신청합니다.
    4. 관리·이윤 비례 증액: 정부 예규는 노무비 인상 시 관리·이윤도 같은 비율로 올리라고 명시합니다.

     

    제가 현장에서 느끼기엔, 3단계에서 담당 공무원과 전화 두세 번만 더 친절하게 소통해도 승인 속도가 절반으로 줄더라고요.

     

     

    예산 편성, 이렇게 해보세요

    • 월급 환산: 일급 90,830원 × 월 평균 근무일수 21.75일 ≈ 1,975,000원. 여기에 4대 보험 회사 부담분과 퇴직금 적립분(월 8.33%)을 더하면 2,200,000원 남짓이 1인당 총 인건비입니다.
    • 인상률 시뮬레이션: 노임단가 +0.8%에 4대 보험 요율 +0.4%p를 더하면 체감 1.2% 인상. 예산팀에는 이 ‘체감치’를 제시해야 설득이 쉽습니다.
    • 복리후생 예비비: 휴가비·명절비를 월 3~4% 따로 잡아 두세요. 매년 추석 직후 예산 부족하다는 말, 정말 많이 듣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계산을 엑셀 VBA로 자동화해 두면 신세계가 열립니다. 버튼 한 번에 ‘인건비-간접비-총금액’이 턱 하고 나오거든요.

     

     

    입찰 전략, 이제는 ‘덤핑’ 대신 ‘합리적 경쟁’

    과거에는 87%대 덤핑이 통했지만, 최저임금이 빠르게 오르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패착이 됩니다.

     

    저는 하반기부터 “안전마진 2%, 래버리지 88~89%”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그래야 갑작스러운 추가 인건비 부담이 생겨도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자칫 과다 덤핑하다 중도 포기하면, 재입찰 패널티와 신용등급 하락이 훨씬 더 뼈아프거든요.

     

     

    현장 담당자의 진짜 고민 네 가지

    1. “예산이 모자라는데 어쩌죠?”
      👉 최소 3개월 전부터 변경계약 안건을 결재 올리면, 추가경정예산 또는 예비비 편성으로 숨통이 트입니다.
    2. “근로자가 자꾸 이직해요.”
      👉 임금만큼 중요한 게 작업환경과 장비입니다. 휴게공간 개선이 이직률을 15% 줄였다는 내부 데이터를 본 적이 있습니다.
    3. “발주처는 삭감, 근로자는 인상 요구”
      👉 노무비는 법정이지만 관리·이윤은 협상 여지입니다. 제 생각엔 관리비를 0.3%만 줄여도 노무비 분을 대부분 메울 수 있어요.
    4. “법령이 너무 복잡해요.”
      👉 ‘정부입찰·계약집행기준’ 제76조의6을 꼭 프린트해 책상 앞에 붙여 두십시오. 개정 때마다 업데이트만 해도 웬만한 법령 질문은 단숨에 해결됩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실무 전략

    노임단가 상승 폭은 1% 미만이지만, 2026년 최저임금은 최소 2%대 인상이 예고돼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가지 대비책이 필요합니다.

    1. 연간 계약 구조를 6개월 단위로 쪼개 변동성에 대응
    2. 근로자 교육·장비 투자로 생산성을 올려 임금 인상분을 흡수

     

    개인적으로 “노임단가는 비용이 아니라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임금이 안정돼야 서비스 품질이 유지되고, 민원·재교육·재입찰 같은 보이지 않는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결론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는 숫자 그 자체보다 “최저임금과의 간극, 낙찰률, 계약금액 조정”이라는 퍼즐을 동시에 맞춰야 한다는 점에서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퍼즐을 제대로 맞추면 근로자 만족도, 기관 신뢰도, 예산 집행 효율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뛰는 여러분께 이 글이 실질적인 나침반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한 가지, 제 주관적이지만 진심 어린 의견을 덧붙인다면—“노동의 가치를 존중하는 조직이 결국 더 효율적이고 돈도 덜 듭니다.” 올해 하반기, 우리 모두 그 가치를 증명해 보지 않으시겠어요?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인생이 막막할 때 반드시 해야 할 질문들 (동기부여)

     

    인생이 막막할 때 반드시 해야 할 질문들 (동기부여)

    인생이 막막할 때 반드시 해야 할 질문들https://www.youtube.com/watch?v=FrwrwPyl8eU "통장 잔고 네 자리, 카톡 미답장 42개, 자존감은… 마이너스." "이쯤 되면 그냥 지구 탈출하고 싶죠. 근데요, 우주선 없

    whatsupman.kr

    “작은 1%의 힘” – 미세한 습관 변화가 인생을 뒤바꾼다 (동기부여)

     

    “작은 1%의 힘” – 미세한 습관 변화가 인생을 뒤바꾼다 (동기부여)

    “작은 1%의 힘” – 미세한 습관 변화가 인생을 뒤바꾼다https://www.youtube.com/watch?v=I99_ApW---M 여러분, 오늘 하루—어제보다 딱 1%만 더 나아질 수 있다면 어떨까요?매일 1%씩 성장하면 1년 뒤 우리는

    whatsupman.kr

    남 눈치 그만 보고 내 인생 사는 법 - 동기부여

     

    남 눈치 그만 보고 내 인생 사는 법 - 동기부여

    불필요한 말 없고, 진짜만 담았습니다. 시간 절약, 스킬 마스터, 나만의 삶을 사는 법까지—여러분의 삶을 더 쉽게 만들어줄 실용적인 팁과 비법을 알려드려요. 과다 사고와 시간 낭비에 지쳤나

    whatsupman.kr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